지방선거 열기가 뜨거워지고 있는 가운데, 국민의힘은 어제 지방선거 출마자를 대상으로 'PPAT', 국민의힘 적격성 평가를 치렀습니다. <br /> <br />정당 사상 처음으로 공천 자격 시험을 진행했는데, 전국 17개 시도, 19개 고사장에서 총 4천 4백여 명이 응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최연소 스무살 응시자부터 최고령은 81세 응시자도 있었는데요. <br /> <br />대다수 응시자가 긴장한 표정으로 시험장에 들어섰고, 수능을 연상케 할 정도로 이들을 응원하는 목소리도 높았습니다. <br /> <br />그렇다면 문제는 어떤 문제들이 나왔을까요? <br /> <br />Q. 국민의힘 대북정책 및 기조? Q. 책임당원으로 인정될 수 있는 자? Q. 제논의 역설? Q. 제시한 명제의 함축·반대·모순관계? <br /> <br />저는 보기만 해도 눈앞이 깜깜해질 것 같은데요. <br /> <br />응시자들 평을 들어보면 '정당법'이나 '선거법', '지방자치법' 관련 문제는 비교적 풀어볼 만 했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제논의 역설, 명제의 관계 등 마치 수능시험이나 대기업 직무적성 검사 같은 문제들은 응시자들의 진땀을 뺐다고 하네요. <br /> <br />이번 공천 자격 시험 PPAT는 총 30문항에 100점 만점으로 진행됐는데요. <br /> <br />지역구 후보자는 점수를 8등급으로 나눠서 점수에 비례해 최대 10%까지 가산점이 부여되고, 기초의회 비례대표는 광역의원의 경우 70점, 기초의원의 경우 60점 이상을 받아야 공천을 받을 수 있도록 규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어떻게 해서든 기준치를 넘거나 가산점을 받아야 하는 만큼 응시자들에게는 절실한 시험이겠죠. <br /> <br />하지만 워낙 다양한 연령대가 참여하다 보니 OMR 카드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의 경우 표기 실수로 카드를 수차례 바꾸는 경우도 있었고, <br /> <br />시험 문제가 까다로워 2030 젊은 응시자들도 풀기가 녹록지 않았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민주당도 질 수 없다! 국민의힘 공천자격시험에 맞서 AI 면접을 도입한 바 있죠. <br /> <br />실제 지난주 빅데이터를 활용한 AI(인공지능) 면접이 처음 도입됐는데요. <br /> <br />제주를 비롯해 9개 광역단체에 도전한 예비 후보들을 대상으로 AI 로봇이 묻는 질문에 답하는 형식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새로운 방식의 면접을 경험한 후보들은 AI 면접으로 뭔가를 평가하기엔 부족하다는 아쉬움부터 객관적인 데이터에 근거해 질문해서 좋은 시도였다는 만족스러움까지 다양한 반응을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여야가 공천 심사에 본격 돌입하면서 풀뿌리 민주주의의 꽃, 6·1지방 선거 열기는 더욱 뜨거워지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새로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박석원 (ancpark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20418153247212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